생활정보

🏥결혼·출산 상관없이 20~49세 모두 가능! ‘임신 사전 건강관리 지원’ 13만 원 받는 법”

콘박스 2025. 7. 24. 11:44

✅ 이런 분은 꼭 읽어보세요

  • "자궁·난소 건강 체크하고 싶은데 비용이 부담돼요"
  • "결혼 안 했는데도 이런 검진 받을 수 있을까요?"
  • "임신 계획은 없지만 건강검진은 하고 싶어요!"

🧬 임신 사전 건강관리 지원이란?

보건소에서 지원하는 국가 여성 건강검진 사업이에요.
결혼 여부나 임신 계획과 상관없이
만 20세~49세 여성이라면 누구나 받을 수 있어요.


🧾 어떤 혜택을 받을 수 있나요?

내용 상세
✅ 지원금 1인당 최대 13만원
✅ 지원 횟수 생애주기별 1회씩, 총 3회까지 가능
✅ 검사 항목 자궁·난소 초음파, 호르몬 검사 등
✅ 대상 만 20~49세 여성 (미혼/비혼/기혼 관계없음)

💡 남성도 정액검사 등 최대 5만원까지 지원 가능!


👩‍⚕️ 어떤 검사를 하나요?

  • 초음파 검사 (자궁, 난소 상태 확인)
  • AMH 검사 (난소 기능 평가)
  • 필요시 추가 검사 (자궁근종, 내막증 등 진단 목적)

※ 검사는 보건소에서 지정한 병원에서 진행돼요.


📝 신청은 어떻게 하나요?

  1. e보건소 또는 거주지 보건소 방문 신청
  2. 검사 의뢰서 발급 (신청 후 5일 이내)
  3. 3개월 이내 지정 병원에서 검사
  4. 진료비는 본인이 우선 결제 → 검사 후 영수증과 통장 사본 제출
  5. 최대 13만 원까지 환급

1. 보건소 직접 방문제출

  • 진료비 영수증(병원 발급)과 통장 사본(본인 명의) 원본 또는 사본을 준비해 관할 보건소에 방문 제출하시면 됩니다.
  • 종이로 직접 확인 후 그 자리에서 접수되고, 영수증 원본은 돌려받을 수 있어요.

2. 온라인(e-보건소) 또는 팩스 제출

  • e-보건소 웹사이트나 앱을 통해 스캔 또는 사진 파일(영수증+통장사본)을 업로드하면 제출 가능합니다.
  • 일부 지역 보건소에서는 팩스 접수도 가능하니 관할 보건소에 전화 문의 후 팩스 번호로 보내면 됩니다.

📌 꼭 기억하세요!

  • 사전 신청 없이 검사하면 지원 못 받아요!
  • 검사 후엔 1개월 이내 청구해야 환급 가능
  • 예산 소진 시 조기 마감될 수 있어요
    ( 📞 지역 보건소에 전화하면 “신청 가능 여부”를 실시간으로 확인해 줍니다.)
    ( 또는 e‑보건소 시스템 접속 → 임신 사전건강관리 → “신청하기” 활성화 여부 확인 )
  • 현재 예산이 소진 된 곳이 많다고 하니 꼭 확인해보세요!
    ( 임신 검진비 신청 폭주…당황한 서울시·경기도 | 한국경제 )

✅ 요약

✔️ 20~49세 여성 누구나
✔️ 자궁·난소 초음파 포함 최대 13만원 지원
✔️ 신청만 하면 동네 보건소에서 가능
✔️ 결혼 안 해도, 임신 안 해도 OK!

 

2024년 임신 사전건강관리 지원 사업안내 < 사업 < 정보 : 힘이 되는 평생 친구, 보건복지부